멀티미디어 지식공작소 | [펌] 디지탈 방송방식 현황
멀티미디어 지식공작소 위치로그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icon [펌] 디지탈 방송방식 현황
기술동향 뉴스/방송기술 | 2007. 12. 31. 18:28


 목     차

※ 요 약                                             

1. 디지털방송 방식 개요                          

2. 지상파 DTV 방송방식현황                    

3. 디지털 CATV 방송방식 현황                                                  안치득

4.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 DAB 방송방식 현황              --------------------

5. 데이터방송 방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 결론                                                                  방송시스템연구부장

 

요 약

 지상파 DTV 본 방송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작년 말에 개시된 것을 필두로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인 디지털방송서비스가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2002년 월드컵축구대회 기간 중 데이터방송 및 3차원 양안식 HDTV 시범서비스가 전국의 월드컵플라자를 중심으로 실시되어 많은 국민들에게 디지털방송서비스에 대한 기대와 장점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방송의 디지털화는 향후 수출산업을 비롯한 국민경제에 막대한 파급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관련 기술개발 및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정부부처를 포함한 산업체, 대학, 연구소 등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디지털방송서비스를 위하여 필요한 방송전송매체별 방식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1. 디지털방송 방식 개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방송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주파수이용효율과 품질 및 전력효율, 그리고 다른 매체와의 호환성 등에 있어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의 장점을 충분히 이용하기 위해서는 방송스튜디오로부터 수신단말에 이르기까지 방송프로그램 신호를 표현하는 방법과 전달하고 수신하는 방법, 그리고 시청자에게 보여주고 들려주는 방법에 있어서 상호 약속된 일정한 규격이 필요하며, 이를 기술적으로 표현한 것을 방송방식이라 한다.
   방송방식을 대별하면 방송국의 스튜디오에서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 프로그램을 수신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영상 및 음향 신호 등을 표현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규정한 방식, 그리고 공중파나 케이블 또는 위성 등의 전송매체를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식이 있다. 프로그램 제작 방식은 대개의 경우 특정 방송국내에서만 통용되면 되므로 방송국간 프로그램 교환을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통일된 방식을 적용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통상 방송방식이라 함은 시청자에게 프로그램 신호를 전달하고 이용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규격을 일컫는다. 그림 1은 디지털방송을 위해 필요한 개념적 기능구조도이며 이때 방송방식은 각 기능 블록간 전달되는 신호 자체에 대한 기술적 규격과 신호의 이용방법에 대한 통일된 기술적 규격을 결정하게 된다.


 

                     그림 1. 디지털방송 시스템 기본 기능구조

 우리나라의 경우 방송방식에 대한 결정은 정보통신부가 하고 있으며 국내 방송방식 결정 시 고려되는 중요한 정책적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Open & Global Standard 정립
   : 능력있는 유망 중소기업 또는 벤처기업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신산업 육성 및 고용      창출에 기여
 
●  
향후 기술발전의 수용성(또는 확장성)
   : 시청자 불편 없이 인터넷 등의 급속한 기술발전에 효율적으로 대응 하고, 매체별 콘텐츠 표현 표준의      통일에 대한 기술적 가능성 제고
 
●  
저렴한 가격의 STB(Set Top Box) 보급 가능성
   : 국민 편의 제고 및 위성방송사업 성공을 위한 기반 마련
 
●  
콘텐츠의 multi-use 가능성
   : 기제작한 콘텐츠를 다른 매체에서도 사용
   디지털기술이 사용되면서 방송프로그램 신호 표현 및 이용방식과 신호전송방식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방송환경과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국제적으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위성방송의 경우 우리나라는 단일사업자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 본고에서는 디지털위성방송 방식에 대한 논의는 제외하기로 한다.

 

2. 지상파 DTV 방송방식 현황

 

 전 세계적으로 지상파TV 방송의 디지털화는 1999년부터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여 2000년대 중반까지 단계적으로 아날로그TV 방송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의 BBC(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가 1998년 9월 세계최초로 전국 규모의 지상파 DTV(Digital Television) 방송을 개시한 이래, 동년 11월부터 미국의 4대 방송사(ABC, CBS, NBC 및 Fox사)가 10대 도시에서 지상파에 의한 DTV 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당초 2000년 본 방송을 실시할 계획이었으나 기존 아날로그TV 방송과의 주파수 배치 등의 어려움으로 연기되어 2003년에 도쿄 등 3대 도시권에서 본 방송을 시작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1년 말에 수도권에서 본 방송을 시작하여 2003년에 광역시로, 2005년까지는 전국으로 방송영역을 점차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표 1에 한국/북미, 유럽, 일본에서 채택한 지상파 디지털TV 방식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표 1). 지상파 DTV 방송 방식 비교

항 목

한 국, 북 미

유 럽

일 본

전송방식

단일반송파 잔류측파대

다중반송파

직교주파수 분할다중화

다중반송파 오디오/비디오 대역 분할사용

변조

8 Level VSB

QAM-OFDM

QAM+BST-OFDM

오류정정

블록부호+격자부호

블록부호+길쌈부호

블록부호+길쌈부호

비디오

MPEG-2

MPEG-2

MPEG-2

오디오

Dolby AC-3

MPEG-2 BC

MPEG-2 AAC

적용 주파수대

기존 TV대역

기존 TV대역

기존 TV대역

대역폭

6MHz

(7, 8MHz 규격 존재)

7 또는 8MHz

(6MHz 규격 존재)

6MHz

(7, 8MHz 규격 존재)

 

한국과 북미에서 채택한 ATSC 방식은 6MHz 전송대역폭에 효율적으로 방송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MPEG-2로 압축된 비디오 신호와 Dolby AC-3으로 압축된 오디오 신호 등의 프로그램신호를 MPEG-2 TS(Transport Stream)로 다중화하고 이를 8-VSB(Vestigial Side Band) 신호로 변조하여 단일 반송파를 통해 전송한다. 이때 전송 채널에 의한 열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블록부호와 격자부호를 사용한다.
   주로 유럽에서 채택한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방식은 8MHz 전송대역폭에서 MPEG-2로 압축된 비디오 신호와 MPEG-2 BC(Backward Compatible)로 압축된 오디오 신호 등의 프로그램신호를 MPEG-2 TS로 다중화하고 다치 QAM(QPSK, 16QAM, 64QAM) 신호로 변조하여 다중반송파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전송 채널에 의한 열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블록부호와 길쌈부호를 사용한다.
   일본의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방식은 기본적으로 DVB-T를 6MHz 전송대역폭에 맞도록 변형한 것이나 유럽방식과 달리 다중화된 신호를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세그먼트별로 다른 레벨을 갖는 QAM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조된 신호는 유럽방식과 마찬가지로 다중반송파를 통해 전송된다.

 

3. 디지털 CATV 방송방식 현황

 

디지털 케이블방송은 지상파TV 방송과는 달리 양방향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수적인 리턴채널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기존과 같은 단순 프로그램 제공서비스와 주식, 뉴스, 날씨 그리고 EPG(Elect ronic Program Guide)와 같은 local-interactive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홈쇼핑, IP phone, 게임 그리고 VOD를 포함하는 remote-interactiv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향후 시청자와의 대화형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날로그 케이블방송이 활성화된 미국의 경우 헤드엔드 장비 및 STB(Set Top Box)에 대하여 Motorola나 SA와 같은 일부 업체가 시장을 독과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FCC(Federal Com munications Commission)는 STB 제조사에게 새로운 market을 형성하고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소비자에게는 수신기 선택의 폭을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디지털케이블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미국 방식인 OpenCable 표준을 따르고 있으며, 헤드엔드 구축에 따르는 과다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케이블 사업자들이 MSO(Multi-Service Operator)를 구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디지털 케이블방송의 방식과 관련된 국제표준은 유럽방식인 DVB-C (Digital Video Broadcasting -Cable) 표준과 미국방식인 OpenCable 표준이 있으며, 표 2에 두 방식을 비교하였다. 유럽 디지털 케이블 규격인 DVB-C의 전송 규격은 ETS 300 429로 표준화되어 있으며, Interaction Channel 규격은 ETS 300 800, 그리고 CA(Conditional Access)를 위한 Common Interface 규격은 EN 50221에 규정되어 있다. DVB-C의 전송방식 관련 주요 특징은 대역내 채널의 전송대역 폭이 300~ 682MHz이며, 대역외 채널의 전송 대역폭은 다운스트림인 경우에는 70~130MHz, 업스트림인 경우에는 5~65MHz 이다.
   미국은 CableLabs 주관으로 표준 제정을 진행중이며, 표준 공개를 통해서 업체간 공개경쟁을 유도하여 디지털 케이블 시장의 활성화를 추구하고 있다. OpenCable의 전송방식 관련 주요 특징은 대역내 채널의 전송대역폭이 54~680MHz이며, 대역외 채널의 전송 대역폭은 다운스트림인 경우에는 70~130MHz, 업스트림인 경우에는 8~42MHz이다. OpenCable 전송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보안 모듈인 POD(Point of Deployment)가 분리된 디지털 케이블 STB를 소비자가 일반소매시장에서 구입 및 소유할 수 있도록 하고있어 장비시장의 경쟁 환경을 대폭 강화한 점이다.

 

표 2). DVB-C와 OpenCable 방식 비교

전송 파라미터

DVB-C

OpenCable

입력신호

MPEG-2 TS

변형 MPEG-2 TS

프레임 구조

MPEG-2 TS 패킷 구조

60(88)RS blocks+42(40)bit syn byte, 128x7bits/블럭

채널

코딩

Randomization

FEC

RS (204, 188)

RS (128, 122) w/ Convolution -al coding

인터리빙

Convolutional interleaving

depth: I=12

Convolutional interleaving

depth: I=128, J=1,2,...,8

변조

대역폭

8 MHz

6 MHz

Constellation

64 or 256 QAM

16, 32, 64, 256-QAM

롤-오프 팩터

15%

64QAM: 18%, 256QAM: 12%

심볼율

6.89 MBaud

5.0 MBaud

정보율

38.1 Mbps

27 Mbps for 64 QAM

36 Mbps for 256 QAM


4.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 DAB 방송방식 현황

 

아날로그 FM 라디오 방송시스템이 지닌 다중경로 페이딩에 의한 음질 열화 등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고, 고음질의 오디오 및 부가데이터 방송 서비스 실현을 위해 [표 3]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표 3. 지상파 디지털 오디오 방식 비교

항    목

유    럽

미    국

일    본

Eureka 147

IBOC

ISDB-T

방식

구조

채널

전송

기본

구조

다중 반송파 방식

다중 반송파 방식

다중 반송파 방식

변조

DQPSK/

COFDM

QPSK/

OFDM

DQPSK, QPSK, 16QAM, 64QAM/BST-OFDM

오류

정정

컨볼루션

CPC

RS + 컨볼루션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MPEG-1, -2 계층2

MPEG-2 AAC

MPEG-2 AAC

적용 주파수대

30MHz ~ 3GHz

기존 FM 대역

TV 대역

대역폭

1.536 MHz

140 kHz

- 약 430 kHz (1 seg-ment)

- 확장가능

 

유럽은 Eureka 147 공동 프로젝트를 통하여 고속 이동환경에서 고음질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DAB 전송방식 표준화를 1995년 완료하여, 1999년 영국의 멀티플렉스 사업자인 Digital One이 본 방송을 시작하였다. 독일은 1999년부터 스테레오 음악방송을 시작한 이후 멀티미디어 데이터방송을 포함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DAB를 위한 새로운 주파수 대역 할당의 어려움으로 FM 대역내 디지털 오디오방송 구현을 목표로 In-Band 방식인 IBOC(In-Band On-Channel) 방식을 채택하였다.
   국내에서는 2001년 초에 유럽의 Eureka 147 DAB 방식을 국내 DAB 잠정표준방식으로 선정하여 2002년 4월부터 지상파 디지털라디오방송 추진위원회 주관으로 실험방송을 실시하였다. 한편 정통부는 TV 대역내에서 지상파를 이용한 멀티미디어방송의 이동수신 서비스를 조기에 실시하기 위하여, 지상파 DAB를 바탕으로 비디오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고 이를 PDA나 이동통신단말과 연계하여 승용차 등 소형이동체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TV 기술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5. 데이터방송 방식

 

데이터방송이란 디지털 방송을 통하여 오디오/비디오와 함께 부가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향후 도래할 지능형방송서비스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부가데이터의 종류와 전송방식 등은 방송방식에 의해 제한되며, 데이터방송 규격은 미국의 ATSC와 유럽의 DVB에서 정한 규격이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부가데이터는 다른 스트림(특히 오디오 또는 비디오)과의 시간적인 관련성에 따라 비동기데이터(Asynchronous data), 동기데이터(Synchronous data), 동기화데이터(Synchronized data)로 구분할 수 있다. ATSC와 DVB에서는 부가데이터로 전송될 수 있는 형식에 대한 규격을 각각 DASE(D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와 DVB-MHP(Multimedia Home Platform)에서 정의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부호화하고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와 다중화하여 전송하기 위해 MPEG-2 규격과 DSM-CC 규격의 일부를 이용하고 있다
.


1) 프로그램/데이터 서비스 안내 정보 (PSIP/SI)   ATSC와 DVB에서는 프로그램과 데이터서비스 안내(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위한 프로토콜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 mation Protocol)와 SI(Service Information)를 정의하여 시청채널정보 이외에 프로그램 이벤트, 프로그램 등급, 표준시각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를 제공한다. 또한 ATSC와 DVB는 다양한 부가데이터의 캡슐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SDF(Service Description Framework)와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를 정의하고 있다.

2) 리턴 채널   아날로그방송과 비교했을 때 디지털방송의 우수성을 가장 차별성 있게 나타낼 수 있는 것이 대화형방송이며, 특히 리턴 채널을 이용한 양방향 대화형 서비스는 방송망과 정보통신망이 융합되어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리턴 채널을 위하여 DVB에서는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을 규정하고 있으며, 네트워크에 무관한 프로토콜은 방송채널과 리턴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네트워크계층과 전송계층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있다. 한편, ATSC에서는 네트워크에 무관하게 리턴 채널을 구성할 수 있도록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에 방송 채널을 통합시키기 위해 필요한 몇몇 기능을 추가하여 계층적으로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있다.

3) Advanced EPG   Advanced EPG(Electronic Program Guide)는 기존의 EPG 기능보다 향상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①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및 브라우징 기능
   ② 방송 프로그램의 멀티미디어 서술(Description) 기능
   ③ 다른 정보 개체와의 연동(link) 기능
   Advanced EPG는 기존의 PSIP/SI에 의한 EPG와 달리 메타데이터(Metadata) 서술자(Descriptor) 및 서술구조(Description Scheme)를 정의하고, 이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EPG 방식과 비교하여 서술구조의 확장이 용이하며, 기존의 방송매체뿐 아니라 인터넷 등 통신망을 포함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전송 매체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메타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부가적인 데이터로서, 방송 프로그램, 사용자 정보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관련되는 다양한 개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메타데이터 대표적인 표준은 MPEG-7과 TV-Anytime Forum이 있다.

4) 콘텐츠 보호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의 콘텐츠 보호는 일반적으로 CAS(Conditional Access System)라고 알려져 있는 제한수신, PVR(Personal Video Recorder)과 같은 디지털 저장 장치에 저장되거나 재배포 되는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저장 제어, 콘텐츠의 재생 시 다양한 보호도구를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MPEG IPMPX(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 Extension), 그리고 이러한 보호도구로서 적용될 수 있는 암/복호화와 워터마킹 등이 있다.
   CAS는 스크램블되어 전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가입된 수신자인 경우에만 수신제어 메시지(ECM)로부터 추출된 Key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CAS를 적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으로 DSS(Digital Satellite System), Digicipher, DVB가 있다.
   수신 프로그램에 대한 저장제어 또는 재배포 규제를 위하여 CCI(Copy Control Information) 정보, Retention 정보, Broadcasting flag 등을 사용한다. CCI 정보는 콘텐츠의 복사를 제어하기 위한 2 bits의 제어정보로 Copy free(00), One copy(01), No more copy(10), Never copy(11)의 의미를 갖는다. Retention 정보는 콘텐츠가 수신기에 저장될 수 있는 기간을 정의하며, Broadcasting flag는 미국에서 지상파 방송 콘텐츠의 재배포를 규제할 목적으로 수신기에서 콘텐츠의 사용권한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현재 이의 강제적용을 위한 법안 성립이 진행 중이다.
   MPEG IPMPX는 MPEG-4 콘텐츠에의 적용을 위하여 표준화가 진행되었으나 디지털방송에 사용되는 MPEG-2 시스템에도 그 개념이 도입되어 현재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MPEG IPMPX는 하나의 수신기에서 다양한 콘텐츠 보호도구(암호화/워터마킹)들을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수신단에서 최종 출력까지 다양한 컨트롤포인트를 제공하므로 더욱 안전한 콘텐츠 보호가 가능하다. 현재 MPEG IPMPX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방송 방식은 없으나, 앞으로 디지털방송 수신기에 대한 콘텐츠 보호시스템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6. 결론   

 디지털방송방식에는 방송신호의 전달매체에 따라 최적의 신호전달 성능을 구현하고자 여러 가지 형태의 기술이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의 표현 및 처리와 관련된 방법에도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디지털방송서비스는 과거 단순시청형의 아날로그방송 형태에서 탈피하여 지상파방송의 경우 고품질의 AV(Audio Visual) 프로그램 제공뿐 아니라 이동 중에도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가 가능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케이블방송의 경우는 양방향서비스를 중심으로 발전할 것이다. 또한 향후 차세대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방송과 통신망의 융합에 의한 새로운 형태의 방송서비스가 출현할 것으로 예상되며 방송방식도 이를 수용하기 위한 방향으로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디지털지상파TV는 대화면에 고화질·입체음향을 제공하고, 지상파DAB는 승용차, 보행자 등 소형이동체에서의 이동TV서비스를, 그리고 이미 이동TV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위성방송은 기차, 버스 등 대형이동체에서의 이동TV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중단기적인 정부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지원 하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관으로 추진되고 있는 SmarTV(Super-intelligent Multimedia Anytime/anywhere Realistic TV) 기술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방송기술의 새로운 도약과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향후 새로운 방송방식에 대하여 우리나라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참고문헌 】

1. Y. Wu, E. Pliszka, B. Caron, P. Bouchard, and G. Chouinard, “Comparison of Terrestrial DTV     Transmission Systems:The ATSC 8-VSB, the DVB-T COFDM, and the ISDB-T BST-OFDM,” IEEE     Trans. Broadcasting, vol. 46, no. 2, pp. 101-113, June.
2. R. Blair, Digital Techniques in Broadcasting Transmission, Elsevier Science, 2002.
3. SCTE-DVS 031r5, “Digital Video Transmission Standard for Cable Television,” July, 2000.
4. EN 300 429 v1.2.1,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Framing structure, 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for cable systems,” April. 1998.
5. ETSI ETS 300 401, “Radio Audio Broadcasting(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DAB) to Mobile,     Portable and Fixed Receivers,” ETSI, Feb. 1995.
6. Rec. ITU-R BS.1114-2, “System for Terrestrial Digital Sound Broad casting to Vehicular,     Portable, and Fixed Receivers in the Frequency Range 30-3000 MHz,”Apr. 2001.
7. ISO/IEC 13818-1:“Information Technology-Generic Coding of Moving Pictures and Associated     Audio Information:Systems,” 2000.12.
8. ATSC A/65:“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for Terrestrial Broadcast and Cable,”     2000.5.
9. ETSI EN 300 468:“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pecification for Service Information (SI) in     DVB,” 1998.2.
10. ATSC Standard:“Data Broadcast Standard,” A/90, 2000.7.26.
11. ATSC Proposed Standard:“D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 Level (DASE-1),” ATSC     PS/100-1~PS/100-8, 2002.11.5.
12. S.-F. Chang,;T. Sikora, A. Puri, “Overview of the MPEG-7 standard,” IEEE Trans. Circuits Syst.     Video Technol., vol. 11, no. 6, pp. 688-695, June 2001.
13. The TV-Anytime Forum, “Specification Series:S-3 on Matadata:SP003v13,” Nov. 2002.

출처 : http://iita57.iita.re.kr/common/journal/14/forum.htm


arrow 트랙백 | 댓글



관리자  |   글쓰기
BLOG main image
- 블로그를 처음 만들면서
분류 전체보기 (142)
기술동향 뉴스 (51)
신조어 사전 (1)
기술용어집 (5)
영상처리 기술 (29)
IT 사용정보 (7)
프로그램 기술 (23)
학술정보 (1)
생활정보 (9)
낙서장 (13)
나의 이야기 (0)
About Me (0)
Total :
Today :
Yesterday :
rss
위치로그 : 태그 : 방명록 : 관리자
multimedia's Blog is powered by Daum / Designed by plyfl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