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지식공작소 | '4G 이동통신' 태그의 글 목록
멀티미디어 지식공작소 위치로그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icon 4G 이동통신 에 해당하는 글7 개
2008.01.06   [펌]모바일 브로드밴드의 수요 전망과 시장구도


icon [펌]모바일 브로드밴드의 수요 전망과 시장구도
기술동향 뉴스/통신기술 | 2008. 1. 6. 04:03
출처 블로그 > 명사십리
원본 http://blog.naver.com/hjo0075/150004571326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수요 전망과 시장구도

작성자 : DBGuide         2006/05/22      

지경용, 김문구, 박종현│ETRI


유선과 무선이 만나는 국내 모바일 브로드밴드는 이용자에게 유무선 융합과 디지털 컨버전스의 편익을 제공하고 통신사업자의 신규 성장형 핵심 서비스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에 기여하며 해외 진출을 통해 국내 통신산업의 재도약과 모바일 강국의 위상을 강화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개념과 의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고 일반인 대상 시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수요를 전망하고 와이브로와 HSDPA를 중심으로 시장구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국내 모바일 브로드밴드는 수요 측면에서 시장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와이브로가 HSDPA에 비하여 시장 규모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전망되었다.


I. 서 론


2006년은 국내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원년으로 의미를 지닌 해가 된다. 유선통신의 공간성과 이동성 제약을 극복하고 이동통신의 전송속도를 보완하기 위한 본격적인 유무선 융합 서비스로 모바일 브로드밴드 서비스가 국내에서 상반기 와이브로와 HSDPA를 중심으로 상용화되기 때문이다. 모바일 브로드밴드는 통신 서비스의 급격한 기술 진화와 고속 멀티미디어에 대한 시장 수요 증가, 통신사업자의 새로운 수익원 창출을 위한 비즈니스 전략이 결집되어 등장하였으며, 향후 제4세대 통신으로 발전할 서비스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모바일 브로드밴드 시대를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차원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소비자의 편익증대와 국민경제의 기여, 세계 시장주도를 위해 u-IT 839 전략을 중심으로 관련 산업의 자원과 역량이 결집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대한 지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특성을 규명하고 수요 전망과 시장구도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고에서는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대한 개념, 특징, 의의를 규명하고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대한 시장 수요를 전망하며 와이브로와 HSDPA를 중심으로 시장구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차세대 통신관련 국내외 자료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네트워크경제연구팀의 2005년 하반기 전국 주요도시 일반인 대상 시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되었다[1].


II. 모바일 브로드밴드 개요와 전망


1.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개념과 의의


유선 통신의 브로드밴드(광대역)를 공간적으로 확장하고 이동성을 부여하며, 이동통신의 모바일 인터넷(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의 전송속도를 크게 개선시킨 개념으로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가 등장하게 되었다. 국내외에서는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대해 무선 초고속 인터넷, 초고속 무선인터넷, 광대역 무선인터넷, Wireless Broadband라는 다양한 용어가 혼용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유선통신과 이동통신을 결합한 유무선 융합의 의미로 모바일 브로드밴드를 통칭하여 사용한다. 모바일 브로드밴드는 전송속도, 경제성, 이동성, 공간성, 개인지향성, 단말기 확장성, 콘텐츠 풍부성의 속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유무선 융합의 무선 초고속 인터넷으로 정의될 수 있다.


모바일 브로드밴드는 단지 기술 진화에서 유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의미를 넘어선 개념으로 유선의 전송속도와 무선의 이동성을 결합한 시너지(단말기 측면, 콘텐츠 측면에서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유무선 융합과 다른 산업과의 컨버전스를 견인하는 일종의 신규 패러다임으로 정립되고 있다. 모바일 브로드밴드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이용자, 기술, 통신 비즈니스 차원에서 지대한 의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모바일 브로드밴드는 이용자 측면에서 공간성과 이동성을 부여하면서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니즈(needs)를 충족시켜 주며,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콘텐츠를 이용하게 됨에 따라 소비자의 편익과 생산성이 증대되고, 다른 서비스 또는 산업과의 결합을 통하여 컨버전스와 유비쿼터스 IT 이용환경의 조성을 가능하게 만들어 준다. 기술 측면에서 모바일 브로드밴드는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고속 전송의 기술 표준을 발전시키며 이동/휴대/고정의 다양한 이용 환경에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 기술을 전개하며 전송 효율을 높이고 전송원가를 낮추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 특장점을 지닌다. 통신 비즈니스 측면에서 성장이 정체되고 있는 통신 서비스 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는 성장동력과 수익형 포트폴리오 구성을 가능하게 하며 제4세대 통신과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의 시장을 선점하는 의미를 지니게 된다[2],[3].


2.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현황 및 전망


모바일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지향하기 위한 국내외 기술로 와이브로, HSDPA, 와이맥스(WiMAX)가 대표적인 기술로 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6년 상반기에 와이브로와 HSDPA가 거의 동시에 상용화 서비스를 제공할 전망이며 해외 주요 국가에서는 HSDPA와 와이브로와 제휴한 와이맥스가 급격한 기술 진화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전개할 예정이다. 특히 와이브로는 영국의 BT, 일본의 KDDI 등의 해외 유수 사업자와의 제휴와 인텔이 중심을 이루는 와이맥스와의 협력(모바일 와이맥스)을 통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근간을 이루는 대표적인 서비스로 와이브로와 HSDPA를 살펴보고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브로(WiBro; Wireless와 Broadband의 결합)는 휴대인터넷 서비스 명칭으로 언제, 어디서나, 이동 중에도 높은 전송속도로 무선 초고속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와이브로는 도심지역에서 대중교통 주행속도(100km/h 정도 내외)의 이동성을 보장하고 높은 수준의 전송속도(상향 링크 최대 1Mbps, 하향 링크 최대 3Mbps)로 무선 초고속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이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국내에서 와이브로는 2003년 이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중심으로 표준이 확정되었으며 ETRI와 삼성전자가 주축이 되어 기술과 장비, 단말기 개발이 성공하였고 2005년 말 APEC 정상회담에서 시연회를 통해 그 위용을 전세계에 과시하였다. 2006년 6월 와이브로 사업자인 KT와 SK 텔레콤을 통하여 상용화될 전망이다.


제3세대(3G) 이동통신인 비동기식 방식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계열이 진화한 기술이 바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고속하향 패킷 접속)가 된다. 하향 링크에서 최대 14Mbps(기지국 기준)의 전송속도를 제공하여 WCDMA에 비해 무선인터넷 제공에서 최대 3~7배 이상 빨라진 혁신적인 통신 기술이 HSDPA가 되며 이를 통해서 영상통화, 글로벌 로밍제공, 모바일 방송에서 강점을 지닐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향후 상향 링크 속도를 개선한 HSUPA(High Speed Upink Packet Access)와 차세대 통신 기술인 OFDM과 MIMO, 스마트 안테나를 채용한 HSOPA로의 진화를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 HSDPA는 2006년 상반기에 SK 텔레콤과 KTF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며, 해외에서는 일본과 유럽, 미국을 중심으로 차세대 이동통신의 주역으로 HSDPA가 제공될 예정이다. 특히, 일본에서는 Super 3G의 명칭으로 제4세대 통신으로의 진화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2],[3].


와이브로와 HSDPA는 <표 1>과 같이 기반 기술의 전개와 대역폭, 전송속도, 이동속도, QoS, 주요 제공 서비스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현 시점에서 와이브로는 전송속도, 전송 효율성 측면에서 HSDPA는 음성제공, 이동성, 서비스 가능 지역, 서비스 품질에서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와이브로는 인터넷 접속과 중용량 이상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며 HSDPA는 음성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와 소용량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우위를 지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두 서비스 모두 기술이 진화하고 있어 와이브로는 보다 높은 이동성을 지니며 VoIP를 통해 음성과 화상통화 제공이 가능할 것이며, HSDPA는 전송속도 향상과 전송 효율성 증대로 인한 요금 경쟁력을 확충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두 서비스간 차별성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3].


III. 모바일 브로드밴드 시장 수요 전망


1. 시장조사 개요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시장 수요를 전망하고 모바일 브로드밴드를 구성하는 와이브로와 HSDPA의 시장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ETRI 네트워크 경제연구팀은 2005년 하반기 전국 주요도시를 대상으로 시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과 6대 광역시, 전국 주요도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15세 이상 59세 미만의 일반인 총8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수의 전문 리서치 기관에 의뢰하여 1대1 개별면접 방식으로 설문이 진행되었다. 본 설문조사의 표본 허용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46%이다. 모바일 브로드밴드와 와이브로, HSDPA에 대해 일반인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보기 카드를 통해 면접원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였다[1].


2.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대한 평가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적인 평가(필요도)와 정서적인 평가(호감도, 매력도)는 (그림 1)과 같이 모두 평균 이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대한 이용의향은 평균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대한 평가는 연령별, 직업별, 거주지별, 현 이용 인터넷 서비스별 차이가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30대 미만의 연령층, 사무직과 학생층, 수도권 거주자, 현재 이동전화 기반의 무선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의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대한 평가가 다른 계층에 비하여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본원적 니즈는 (그림 2)와 같이 초고속 인터넷의 발전 니즈와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발전 니즈의 정도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바일 브로드밴드 이용 의향자에게도 두 니즈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바일 브로드밴드가 유선통신 또는 이동통신의 하나의 서비스 계열로 진화한 서비스보다는 유무선이 융합하는 서비스로 발전하여 전개하는 것이 적합한 서비스 컨셉과 제공 방향이 됨을 시사해준다.



3.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입의향과 가입 이유


일반인은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대해 평균정도의 수용도를 나타냈으며 계층별 가입의향은 (그림 3)과 같았다. 전술한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내린 계층과 가입의향 계층과는 거의 밀접한 관련성을 지녔으며 10~20대의 연령층, 사무직, 학생층, 서울거주자, 이동전화 무선인터넷과 무선랜 이용자가 다른 계층에 비하여 가입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입 의향자의 가입 이유은 (그림 4)와 같이 실외나 이동 상황에서 인터넷의 편리한 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 브로드밴드 비가입 의향자의 비 가입 이유는 (그림 5)와 같이 필요성 부재가 절대적 비율을 차지한 가운데 요금부담감, 단말기 부담감과 같은 비용장벽이 가입을 장애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모바일 브로드밴드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대한 소비자의 유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비용장벽을 개선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비 가입 의향자는 (그림 6)과 같이 모바일 브로드밴드가 향후 요금하락, 단말기 이용환경 개선(비용과 단말기 다양성), 서비스 품질 개선과 같은 안정적 서비스 제공시 비가입에서 가입으로 전환할 의향을 나타냈다. (그림 6)에서 기존 인터넷과의 차별성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보다는 요금, 단말기 보조금과 같은 이용장벽을 낮추는 요인이 모바일 브로드밴드로의 가입전환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IV. 모바일 브로드밴드 시장구도 전망


본 장에서는 국내에서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핵심 서비스를 이룰 것으로 전망되는 와이브로와 HSDPA에 대한 시장구도를 앞 장에 이어 일반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시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1. 와이브로와 HSDPA의 수요 예측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대해 일반인의 가입의향을 바탕으로 마케팅과 경영 과학에서 널리 활용되는 Morrison(1979)의 수요 예측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포화시점에서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전체 수요 규모는 1,368.0만 명으로 나타났다(본 조사결과는 인터넷 접속과 같은 데이터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모바일 브로드밴드 수요만을 의미한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제공 가능한 단말기를 통하여 단순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응답자들은 제외하였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운데 와이브로 선택 비율은 59.7%, HSDPA는 36.0%, 중복 선택은 4.3%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수요 규모로 환산하면 와이브로 시장 수요는 875.5만 명(단독 가입 수요: 816.7만+중복 가입 수요: 58.8만 명), HSDPA 시장 수요는 551.3만 명(단독 가입 수요: 492.5만 명+중복 가입 수요: 58.8만 명)으로 추정되었다. 와이브로와 HSDPA의 연도별 시장 수요의 전개는 (그림 7)과 같았으며 와이브로가 HSDPA에 비하여 수요 규모, 시장 확산 속도에서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3].



2. 와이브로와 HSDPA의 가입 선택 비율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입 의향자 가운데 계층별 와이브로와 HSDPA에 대한 선택 비율은 (그림 8)과 같았으며 남성, 10대, 50대, 블루컬러, 학생층, 대도시 거주, 현재 이동전화 무선인터넷과 무선랜 가입자가 와이브로를 선택하는 비율이 다른 계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와이브로 가입 선택자가 전반적으로 높은 가운데, 와이브로의 핵심 이용자 계층이 등장할 개연성을 시사해준다.



3. 와이브로와 HSDPA의 킬러 단말기와 킬러 서비스


와이브로와 HSDPA 이용 의향자의 단말기 선택은 (그림 9)와 같이 나타났다. 와이브로 가입 의향자 가운데 PDA 선택자가 가장 높았으며 휴대폰/스마트폰과 노트북 선택자는 거의 동일한 규모를 나타냈다. 반면에 HSDPA 가입 의향자는 휴대폰/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두 서비스 사이에서 차이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단말기 유형은 노트북과 핸드헬드 PC였으며 와이브로 수요자가 대부분 이들 단말기를 선택하였다. 본 결과에서 흥미로운 점은 PMP 서비스 선택자가 와이브로와 HSDPA 모두 일정 비율 이상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향후 멀티미디어 복합 킬러 단말기로 PMP의 잠재력을 시사해준다[2],[3].



와이브로와 HSDPA 모두 킬러 서비스로 (그림 10)과 같이 정보검색(웹 서핑), 이메일, MMS, 게임으로 공통화되었다. 와이브로가 전송속도를 기반으로 게임, 멀티미디어 다운로드와 같은 멀티미디어에 대해 이용의향이 높은 반면에, HSDPA는 커뮤니티, 실시간 방송, 위치기반 서비스(LBS), 화상 서비스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이용의향이 상대적으로 우위를 나타냈다. 이는 와이브로와 HSDPA의 서비스 이용유형에서 차별화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해준다[2],[3].



4. 와이브로와 HSDPA의 가입 의향자와 이용 행태 전망 비교


본 시장조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와이브로와 HSDPA의 가입 의향자 특성과 이용 행태를 비교하면 <표 2>와 같이 종합된다.



와이브로와 HSDPA 모두 10~30대의 연령층, 화이트 컬러, 학생, 서울 거주자, 첨단추구/유행선도형의 라이프 스타일이 공통적인 가입 의향자 특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와이브로가 남성, 중간 정도의 소득층, 수도권 거주자, 보수적 소비형, 현재 이동전화 무선인터넷과 무선랜 이용 비율이, HSDPA는 자영업, 주부, 고소득층, 지식정보 추구형, 이동전화 번호이동성과 단말기 교체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와이브로와 HSDPA는 주요 가입요인, 이용의향 단말기와 서비스, 서비스의 지불의사수준(WTP) 측면에서 차별화가 되었으나 주 이용장소, 단말기의 WTP는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V. 결론: 모바일 브로드밴드 활성화 방향


이 글에서는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개념과 의미를 개관하고 시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시장 수요를 전망하고 와이브로와 HSDPA를 중심으로 시장구도와 가입 의향자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모바일 브로드밴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브로드밴드는 단지 통신 서비스의 진화과정에서 명멸하는 신규 서비스 차원을 넘어 충분한 이용자 기반을 바탕으로 시장 잠재력을 지닌 신규 수종형 서비스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바일 브로드밴드를 단지 브리징 서비스로 포지셔닝하기 보다는 유무선 융합과 디지털 컨버전스의 허브가 되는 서비스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사업자의 비즈니스 모델이 강구되어야 한다.


둘째,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주축이 되는 와이브로와 HSDPA 가운데서 와이브로의 이용자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와이브로와 HSDPA는 가입 이유, 단말기, 콘텐츠 측면에서 차별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와이브로는 다양한 단말기를 기반으로 초고속 대용량 멀티미디어에 적합한 인터넷 접속 매체로, HSDPA는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휴대성을 극대화하는 매체로 특성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신사업자는 와이브로와 HSDPA에 대한 잠재적 소비자층의 이용 니즈와 이용영향 요인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전략과 서비스 특화 전략을 펼쳐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3].


셋째, 와이브로와 HSDPA의 모바일 브로드밴드는 유무선 융합과 컨버전스를 지향하여 서비스 제공 역량을 강화하고 소비자의 편익과 효용을 제고시켜야 한다. 유무선 융합과 컨버전스는 단지 네트워크나 서비스의 기능적 융합을 의미하지 않으며 단말기 확장성과 콘텐츠 활용성을 강화하고 범위의 경제를 창출해야 한다.


넷째,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치사슬의 유무선 융합과 컨버전스 역량을 강화해야 하며 이를 통해 전후방 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장비 개발업체는 표준화를 강화하고 다른 매체와의 호환성을 확보하여 융합 플랫폼 개발을 독려하고 콘텐츠 업체는 킬러 컨버전스 콘텐츠를 개발하여 가치사슬 전반의 수익성을 강화해야 한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사업자와 다른 산업 참여자는 전략적 제휴와 역할 분담을 통하여 융합형 비즈니스 모델 개발, 가입자의 조기확보, 지속적 투자활동을 강화하여야 하며 단말기 제조업체는 세분된 이용자 특성에 적합한 다기능, 고품질의 복합 단말기를 개발하여야 한다.


다섯째, 모바일 브로드밴드가 컨버전스의 중핵 서비스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다른 통신 서비스에 비해 차별적이어야 하고 경쟁우위의 속성을 지녀야 한다. 모바일 브로드밴드는 기존 통신 서비스의 경계 영역에서 중복되는 특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는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본질적 속성 중 일부를 강조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모바일 브로드밴드는 기존 통신 서비스 기능의 단순 합을 통해 개선한 것이 아니라 속도, 공간성, 이동성, 경제성은 물론 단말기와 콘텐츠 확장성 등 속성이 어우러지는 또 다른 광대역 무선 인터넷으로 자리잡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브로드밴드가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여 국내 IT 산업의 새로운 성장 중핵이 되기 위해서는 국내 시장 활성화와 함께 해외 진출 역량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즉 국내 시장과 해외 진출이 각기 전개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 일종의 도입시장 내지는 시범지역(Test-Bed)으로 시금석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와이브로는 무선으로 초고속 인터넷을 확장하고자 하는 해외 수요를 반영하여 전송속도와 서비스 안정성을 강화하는 기술 진화와 함께 독자 또는 모바일 와이맥스와 같은 전략적 제휴를 동시에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5].


<참고문헌>

[1] 지경용, 김문구, 박종현, “휴대인터넷 정책방향과 비즈니스 전개를 위한 시장조사 분석 보고서,” 2005.
[2] 김문구, “모바일 브로드밴드 시장구조 전망과 활성화 방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5. 11. 30(2006 모바일 프론티어 컨퍼런스 발표자료).
[3] 조영환,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전개와 활성화 방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5.12.
[4] 김문구, 지경용, 박종현, “신규 유무선 융합 서비스의 수요 전망과 시장위상,” Telecommunications Review 제16권 제1호, 2006. 2.
[5] 지경용, 김문구, 박종현 외, “휴대인터넷 산업정책과 발전전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5.


제공 : DB포탈사이트 DBguide.net

출처명 : IITA 기술정책정보단

arrow 트랙백 | 댓글



[PREV] [1][2][3][4][···][7] [NEXT]
관리자  |   글쓰기
BLOG main image
- 블로그를 처음 만들면서
분류 전체보기 (142)
기술동향 뉴스 (51)
신조어 사전 (1)
기술용어집 (5)
영상처리 기술 (29)
IT 사용정보 (7)
프로그램 기술 (23)
학술정보 (1)
생활정보 (9)
낙서장 (13)
나의 이야기 (0)
About Me (0)
Total :
Today :
Yesterday :
rss
위치로그 : 태그 : 방명록 : 관리자
multimedia's Blog is powered by Daum / Designed by plyfl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