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본문스크랩] P-NP
낙서장 |
2007. 3. 27. 16:23
|
|
블로그 > 깡
http://blog.naver.com/gangseok514/130004190721
P class: 시험 시간 안에 풀 수 있는 문제
NP class: (시험 시간 안에 풀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답을 알려주면 맞는지 시간 안에 검산해볼 수 있는 문제
co-NP class: (시험 시간 안에 풀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답을 알려주면 그 답이 틀렸는지 시간 안에 검산해 볼 수 있는 문제.
P에 속하면 당연히 NP에 속합니다. (왜나면 직접 풀어서 알려준 답과 맞는지 비교하는 것도 검산의 한 방법이니..)
하지만 NP가 P인지는 모릅니다. (검산할 수 있다는 것과 풀 수 있다는 것의 차이...) ------------------------------------------------------------------------- NP-complete 는 그 중에서 한 문제만 P라고 풀려도 줄줄이 사탕으로 모든 NP 문제가 P로 풀린다는게 증명된 문제들입니다. 당연히 제일(!) 어려운 문제죠.
소수 판정은 NP-complete인지, P인지 다들 모르고 있었지만 다들 어려워하던 문제입니다. 그런데 P에 속한다는 증명이 나온 거죠.
NP-complete가 P에 속한다면, 모든 NP 문제가 P에 속하게 되므로 소수 판정이 P라는 논문은 역사속으로 사라집니다.
하지만 NP 중의 하나라도 P가 아니라고 증명된다면... 꽤 복잡해집니다. P와 NP의 두 그룹으로 나뉘는게 아니라 그 사이에 자잘한 부류로 나뉩니다. (조금 어려운 문제, 많이 어려운 문제, 식으로요.)
NP-hard는... NP class에 속하는지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이 문제가 풀리면 모든 NP 문제가 P에 풀린다고 증명되는 문제의 집합입니다.
즉, 시험 시간 안에 검산할 수는 없지만, 누군가가 맞는 공식을 알려주면 그걸 이용해서 다른 어려운 문제를 풀 수 있는 경우라고나 할까?
50개의 도시를 도는 TSP의 경우 NP-complete는.. "50개의 도시를 1000km 안에 다 돌 수 있느냐?"란 문제겠죠. 누군가가 "A-B-C-D 순으로 돌면 돼"라고 알려주면 그게 맞는지 검산해 볼 수 있습니다.
NP-hard는.. "50개의 도시를 다 도는 가장 짧은 길은 몇 km냐?"죠. 누군가가 "A-B-C-D 순으로 돌면 975 km면 돼"라고 알려준다고 해도 혹시 "B-A-C-D" 순으로 도는게 더 짧을 수도 있으니 검산으로 확인해 볼 수 없죠.
NP-hard 문제인 위 문제를 어떻게든 풀 수 있다면, 위의 NP-complete 버젼은 간단히 풀리겠죠?
|
|
|
|
|
|
« 2025/04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
|
|
|
Total :
Today :
Yesterday : |
|
|